본문 바로가기

소방공사 감리 지침 및 참고자료44

방화구획 규정 방법 법령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화재가 건축물 전체에 번지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일정 면적, 층, 용도 등에 따라 구획하는 데 이것을 방화구획이라고 합니다. 이와 관련한 설치 대상과 설치 기준을 법령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근거 건축물 피난 및 방화구조에 대한 기준 규칙 제14조- 방화구획 설치기준 건축법 시행령 제 46조(방화구획 등의 설치) 설치대상 건축법 시행령 제46조(방화구획 등의 설치) ① 법 제49조제2항 본문에 따라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로서 연면적이 1천 제곱미터를 넘는 것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다음 각 호의 구조물로 구획(이하 “방화구획”이라 한다)을 해야 한다. 다만, 「원자력안전법」 제2조제8호 및 제10.. 2023. 3. 13.
지하주차장 소화배관 층고 기준 법령 근래 외부주차장을 없애는 추세와 맞물려 지하주차장 택배차량 출입등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 그리하여 지하주차장 층고 기준이 바뀌었습니다. 다시 한번 지하주차장 층고 기준 법령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근거 주차장법 시행규칙 제6조(노외주차장의 구조ㆍ설비기준)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6조의 2(주차장의 구조 및 설비) 법령 주차장법 시행규칙 제6조(노외주차장의 구조ㆍ설비기준) 5. 지하식 또는 건축물식 노외주차장의 차로는 제3호의 기준에 따르는 외에 다음 각 목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가. 높이는 주차바닥면으로부터 2.3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중 략 ~ 7. 노외주차장에서 주차에 사용되는 부분의 높이는 주차바닥면으로부터 2.1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6조.. 2023. 3. 7.
임시소방시설 설치기준 설치계획표 관련법에 의해 건설현장에서 설치하시는 임시소방시설 설치기준 설치계획표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설치계획표 양식도 참고하셔서 잘 운영하시기 바랍니다. 근거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8 제1호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항제6호나목 및 제15조제4항 임시소방시설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606) 임시소방시설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606) 임시소방시설의 종류 가. 소화기 나. 간이소화장치: 물을 방사(放射)하여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장치로서 소방청장이 정하는 성능을 갖추고 있을 것 다. 비상경보장치: 화재가 발생한 경우 주변에 있는 작업자에게 화재사실을 알릴 수 있는 장치로서 소방청장이 정하는 성능을 갖추고 있을 것 라. 가스누설경보기: 가연성 가스가 누.. 2023. 3. 7.
2023년 건설공사 해빙기 안전점검 매뉴얼 공유 해빙기에는 얼어있던 지반이 녹아 풀리면서 굴착면이나 비계 등 가시설 구조물의 무너짐, 건설기계장비 무너짐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부에서 배포한 해빙기 건설현장 안전보건길잡이와 안전수칙 OPS자료를 보시고 안전하게 공사하시기 바랍니다. 근거 고용노동부 정책자료실 배포자료 해빙기 건설현장 안전수칙 해빙기 건설현장 안전수칙 OPS 2023년 해빙기 건설현장 안전보건 길잡이 - 전체본 아래 다운로드 참고자료 2023.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