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안전기준8 화재안전기술기준 - 수계소화설비 배관 관경 총정리 화재안전기술기준으로 개정 시행됨에 따라 수계소화설비의 배관 관경에 대해 총정리해 보겠습니다. 배관관경 목차 공통 옥내소화전 설비 스프링클러설비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연결송수관설비 상수도소화용수설비 1. 공통 각 화재안전기술기준에 공통으로 명시함 수원의 수위가 펌프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가압송수장치의 물올림장치 급수배관 구경 : 15mm 연결송수관설비의 배관과 겸용할 경우 - 주배관은 구경 : 100 ㎜ 이상 - 방수구로 연결되는 배관의 구경 : 65 ㎜ 이상 가압송수장치의 체크밸브와 펌프사이에서 릴리프밸브 설치를 위한 배관 구경: 20 ㎜ 이상 2. 옥내소화전 설비 옥내소화전방수구와 연결되는 가지배관의 구경 : 40 ㎜ (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의 경우에는 25 ㎜) 주배관 중 수직배관의 구경 : 50 ㎜ (호스.. 2023. 8. 8. 화재안전기술기준 - 옥내소화전함 및 방수구 화재안전기술기준으로 개정 시행됨에 따라 옥내소화전함과 방수구 기준에 대해 알아봄 옥내소화전함 및 방수구 목차 옥내소화전함 옥내소화전 방수구 표시등 1. 옥내소화전함 함은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한 「소화전함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설치하되 밸브의 조작, 호스의 수납 및 문의 개방 등 옥내소화전의 사용에 장애가 없도록 설치 연결송수관의 방수구를 같이 설치하는 경우에도 같음 옥내소화전 방수구까지의 수평거리가 25m를 초과하는 경우로서 기둥 또는 벽이 설치되지 않은 대형공간의 경우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수 있음 1) 호스 및 관창은 방수구의 가장 가까운 장소의 벽 또는 기둥 등에 함을 설치하여 비치할 것 2) 방수구의 위치표지는 표시등 또는 축광도료 등으로 상시 확인이 가능토.. 2023. 7. 19. 화재안전기술기준 - 스프링클러설비의 배관방법 화재안전기술기준 중 스프링클러 설비의 배관방법에 대해 알아봄 화재안전기술기준 스프링클러설비 배관 목차 스프링클러설비 배관 개요 배관 재질기준 급수배관 소화펌프 배관 연결송수관설비의 배관과 겸용할 경우 보호조치 가지배관 교차배관의 위치 청소구의 설치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개방밸브 사용 시 2차 측 배관 습식유수검지장치, 건식유수검지장치,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시험장치 행거 설치기준 배수배관 주차장의 스프링클러설비 1. 스프링클러설비 배관 개요 배관과 배관이음쇠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또는 동등 이상의 강도·내식성 및 내열성 등을 국내·외 공인기관으로부터 인정받은 것을 사용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KS D 3576)의 이음을 용접으로 할 경우에는 텅스텐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Tung.. 2023. 7. 18. 화재안전기술기준 - 스프링클러설비 헤드의 설치제외 화재안전기술기준 중 스프링클러설비 헤드에 대해 알아보았으니 헤드 설치제외에 대해서도 알아봄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3) 헤드의 설치제외 목차 헤드 설치제외 장소 천장과 반자사이 설치제외 기준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의 드렌처설비를 설치한 경우 참고. 피트공간 스프링클러헤드 지침 반자 내 단열재 스프링클러헤드 질의회신 1. 헤드 설치제외 장소 계단실(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을 포함) 경사로 승강기의 승강로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 파이프덕트 및 덕트피트(파이프·덕트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획된 구멍에 한함) 목욕실·수영장(관람석 부분을 제외)·화장실 직접 외기에 개방되어 있는 복도 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 통신기기실·전자기기실·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 발전실·변전실·변압기·기타 이와 유사한 전기.. 2023. 7. 1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