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안전기준8 화재안전기술기준 - 스프링클러설비 헤드 기존 화재안전기준이 화재안전성능기준과 화재안전기술기준으로 구분됨에 따라 스프링클러 헤드에 대해 정리해 봄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8) 중 헤드목차 스프링클러 헤드 개요 헤드 수평거리기준 헤드 종류별 설치기준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 스프링클러설비 주요질의회신 헤드 설치제외 1. 스프링클러 헤드 개요 스프링클러헤드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천장·반자·천장과 반자 사이·덕트·선반 등에 설치해야 함 - 폭이 1.2m를 초과하는 것에 한함 - 폭이 9 m 이하인 실내에 있어서는 측벽에 설치할 수 있음 랙크식 창고의 경우로서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2의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것에 있어서는 랙크높이 4 m 이하마다 설치 - 그 밖의 것을 취급하는 것에 있어서는 랙.. 2023. 7. 17. 화재안전 성능기준 기술기준 용어 정리 1편 - 공동주택 소방기계 한글을 배울 때 자음 모음을 배우고 영어는 알파벳을 먼저 배우듯 화재안전 성능기준 기술기준을 이해하기 위해 용어를 단어장 보듯 하다 보면 화재안전기준이 한결 쉽게 이해가 될 것임. 공동주택 소방기계 편 공동주택 소방기계설비 용어 목차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옥내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 옥외소화전설비 가스누설경보기 피난기구 상수도소화용수설비 소화수조 및 저수조 제연설비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연결송수관설비 임시소방시설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용어 1.7.1.1 "소화약제"란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에 사용되는 소화성능이 있는 고체·액체 및 기체의 물질을 말한다. 1.7.1.2 "소화기"란 소화약제를 압력에 따라 방사하는 기구로서 사람이 수동으로 조작하여 소화하는 다음의 소화기를 말한다. (1).. 2023. 7. 7. 임시소방시설 화재안전기준 개정 시행(23.7.1) - 건설현장의 화재안전성능기준 현행 "임시소방시설의 화재안전성능기준"을 전부개정한 "건설현장의 화재안전성능기준"이 7월 1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건설현장 대형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화재안전기준이 강화된 것이라고 하니 한번 알아봅시다. 1. 개정시행개요 건설현장은 다수의 작업자가 함께 근무하며 내․외장 건축자재 등 가연물이 많고, 용접‧용단 등의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공간 특성상 화재 위험이 높음 또한, 작업 중에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해 화재를 초기에 인지하지 못할 우려가 있고, 아직 완성된 건축물이 아니기 때문에 소방시설도 없어 대피 시 피난로가 확보되지 않아 고립되거나 대피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자칫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있음 이러한 건설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화재안전기준 개정은 2020년 4월 경기도 이천 물류센터.. 2023. 7. 4. 화재안전기준 성능기준 기술기준으로 22년 12월 1일 부터 전면개편 22년 12월 1일부터 국가화재안전기준을 성능기준과 기술기준으로 나눠, 고시 및 공고 형태로 각각 제·개정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소방시설법이 시행 됨 근거 소방청공고제2022-194호 화재안전기준 38개 고시 전부개정(안) (화재안전성능기준) 행정예고 소방청 보도자료 2022.11.4.(금) 조간 변경배경 화재안전기준은 성능기준과 기술기준이 하나의 행정규칙(고시)으로 혼재되어 있어, 소방산업의 국제기준에 따라 적시에 개정해야 하는 기술기준의 경우, 통상 4~5개월이 소요되는 고시 개정 절차로 인해 제때 개정되지 못하면서 신기술‧신제품 도입 지연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고 함. 바뀌는 내용 - 현행 : 소화기구나 스프링클러, 자동화재탐지설비 등 소방시설별 33개 고시, 도로터널, 전기저장시설,.. 2023. 3. 3.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