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기술사 129회 기출문제 2-4. 공사현장에서의 용접·용단 작업 시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비산불티의 특성 및 비산거리 영향요인
2) 용접·용단 작업 시 화재 및 폭발의 주요 발생 원인과 대책
개념
- 공사현장의 경우 다량의 가연성 물품이 존재
- 용접, 용단 작업시 발생하는 비산 불티는 작업 현장의 주요한 점화원으로 작용함
- 연소범위 내의 가연성 물질과 접촉 시 화재 및 폭발의 원인이 됨
비산불티의 특성 및 비산거리 영향요인
특성
- 불티는 약 1,600℃ 이상의 고온체
- 발화원이 될 수 있는 비산불티의 크기는 약 0.3~3mm 정도
- 가스 용접 시 산소 압력, 절단 속도 및 절단 방향에 따라 비산 불티의 양과 크기가 달라짐
- 비산 된 후에도 상당 시간 축열되어 있어 발화원으로 작용
비산거리 영향요인
- 작업현장의 풍속, 풍향 및 높이 등에 따라 비산거리 늘어남
화재·폭발 발생 원인과 대책
원인
- 화재: 불꽃비산, 열을 받은 용접 부분의 가연물 접촉
- 폭발: 토치나 호스에서 가스누설 / 드럼통이나 탱크 용접 절단 시 잔류 가연성 가스 증기의 폭발 / 역화
대책
1. 위험성 평가 및 근로자 안전교육 실시
⑴ 원ㆍ하청 간 명확한 작업지시 체계를 확립하고 화기 작업 지역의 모든 공사 참여 협력업체 별 관리 감독자가 함께 위험성 평가 실시 및 결과 공유
⑵ 용접ㆍ용단 작업 시 인화성 물질 착화 화재의 특징, 대처 방법 등에 대해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실시
2. 관리 감독 및 점검 활동
⑴ 인화성 물질 또는 가스 잔류 배관ㆍ용기에 직접 또는 인근에서 용접ㆍ용단 시 위험물질 사전 제거 조치
⑵ 용기 및 배관에 인화성 가스, 액체 체류 또는 누출 여부 상시 점검 후 위험요인 제거
⑶ 전기케이블은 절연 조치하고 피복 손상부는 교체, 단자부 이완 등에 의해 발열되지 않도록 조임
⑷ 작업에 사용되는 모든 전기기계기구는 누전차단기를 통하여 전원 인출
⑸ 가스용기의 압력 조정기와 호스 등의 접속부에서 가스 누출 여부를 항상 점검
⑹ 화재위험작업을 하는 경우 화재의 위험을 감시하고 화재 발생 시 근로자의 대피를 유도하는 업무만을 담당하는 화재감시자를 지정ㆍ배치
⑺ 작업 중뿐만 아니라 작업 후 일정 시간 비산 불티, 훈소 징후 등 감시활동∙ 화재감시자는 작업완료 후에도 1시간 이상 훈소 발생 징후가 있는지 작업 장소 및 인접한 위, 아래층까지 주의 깊게 관찰(감시)
3. 안전 작업 방법 준수
⑴ 인화성 물질은 용접ㆍ용단 등 화기 작업으로부터 10m 이상 떨어진 안전한 곳으로 이동조치
⑵ 용접ㆍ용단 작업 실시 장소에는 “경고ㆍ주의”표지판 설치, 작업 장소 인근에 적정 능력 소화기 비치
⑶ 지하층 및 밀폐공간은 강제 환기시설을 설치하여 급ㆍ배기를 실시
⑷ 화재로 정전되더라도 비상 작동되는 경보설비(연면적 400㎡ 이상 또는 상시근로자 50명 이상 시)와 외부와의 연락장치, 유도등, 비상 조명시설 등 설치로 비상 대피로 확보
⑸ 용접ㆍ용단 작업은 우레탄폼 시공보다 선시공하는 등 화재예방을 고려한 공정계획 수립
4. 소속 근로자의 화재 등 비상 대응 준비 및 훈련 실시
'소방자격증 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기술사 기출 문제 풀이 - 도로터널 화재 대책 및 방재 시설 (0) | 2023.05.08 |
---|---|
소방기술사 기출문제 풀이 - 에너지저장장치 ESS 및 배터리용 소화장치 (0) | 2023.05.03 |
소방관진입창 유리의 종류 방화유리창의 구조 소방기술사 129회 기출 (0) | 2023.03.18 |
129회 소방기술사 기출 요양병원 피난기구 종류 구조대 선정 (1) | 2023.03.18 |
129회 소방기술사 방화댐퍼 배연설비 방화구조 기준 (0) | 2023.03.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