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29회 소방기술사 기출문제 3교시 4. 층고가 낮은 지하주차장에서 장방형 금속제 제연덕트를 설치할 경우 단면형상과 시공방 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개념
- 반자고 및 층고 확보를 위해 장방향 덕트로 시공함
- 장방형 덕트가 옆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인 경우 마찰손실 심해져 균일한 풍량 공급이 불가능함
- 적정한 종횡비에 따른 덕트 시공이 필요함
덕트 단면형상
종횡비(Aspect Ration) : 사각 덕트 및 공기취출구 등의 가로와 세로의 비
종횡비 고려
- 종횡비 = b : a
- 건축물의 층고에 적합한 종횡비를 선정하되 가능한 적정 종횡비를 유지
- 마찰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1:1.5~2 정도가 적당하고 최대 1:4 이하로 선정
종횡비 제한이유
- 종횡비가 클 경우 : 풍속, 소음의 증가, 마찰손실의 증가, 정압감소, 풍량의 분배가 고르지 못함, 공사비 증가
- 종횡비가 작을경우 : 낮은 천정고에 대응 불리, 마찰손실의 감소, 저속덕트에 적합
덕트 시공방법
- 덕트간 접속 : 덕트의 접속은 앵글 플랜지 공법, 공판 플랜지 공법 및 슬라이드 온 플랜지 공법 등으로 접속
- 덕트와 송풍기간 접속: 덕트와 송풍기 사이는 캔버스로 연결, 캔버스는 내열, 방염성능이 우수해야 함
시공 유의사항
- 덕트는 내부의 공기압력에 대해서 변형이 적고 또 공기의 저항 및 누설이 적어야 한다.
- 덕트 만곡부의 내측반경은 원칙적으로 장방형 덕트의 경우는 반경방향 덕트폭의 1/2 이상, 원형덕트는 직경의 1/2 이상으로 한다.
- 덕트의 단면을 변형시킬 때에는 급격한 변형을 피하고 점차적인 확대 또는 축소형으로 하며, 확대할 때에는 경사각도를 15°, 축소할 때는 30°의 범위 이내로 한다.
- 관통부를 통과하는 덕트와 슬리브 사이의 간격은 2.5cm 이내로 한다. 덕트 슬리브와 고정철판은 두께 0.9mm 강판재를 사용한다. 방화구획 이외의 벽면을 관통하는 덕트의 틈새는 암면 이외의 불연재로 메운다.
- 방화구획의 관통부에는 방화댐퍼를 설치한다. 방화구획부(벽체)에 방화댐퍼가 설치된 지 않는 경우에는 방화구획과 댐퍼 사이의 덕트는 1.6mm 이상의 강판제로 한다.
고려사항
시스템 효과
- 층고 낮을 경우 장방형 덕트의 종횡비가 커져 마찰손실이 증가하는데, 덕트의 시공 형태에 따라서도 마찰손실이 증가할 수 있음
- 덕트가 급격히 꺾이는 경우, 송풍기와 엘보가 근접한 경우, 외기취입구의 단면이 작은 경우 등이 있음
- 설계 시 시스템 효과를 고려한 설계가 필요
동압에 의한 덕트 단면적 감소
- 종횡비가 클 경우 유체 유동에 따른 덕트의 단면적이 감소함
- 동압 증가에 따른 정압 감소로 덕트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하기 때문
- 덕트 보강바 등을 이용하여 덕트의 처짐을 방지해야 함
'소방자격증 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기술사 기출문제 - 전기자동차 배터리 열폭주 현상 및 지하주차장 화재대책 (1) | 2023.05.16 |
---|---|
소방기술사 기출문제 -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 (1) | 2023.05.16 |
소방기술사 기출 문제 - 위험물안전관리법 상 인화성 액체 (0) | 2023.05.12 |
소방기술사 기출 문제 풀이 - 도로터널 화재 대책 및 방재 시설 (0) | 2023.05.08 |
소방기술사 기출문제 풀이 - 에너지저장장치 ESS 및 배터리용 소화장치 (0) | 2023.05.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