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연 TAB는 제연설비시스템을 설계 목적에 부합되도록 검토, 조정하고 성능을 검증하는 과정이다.
제연 TAB 업무절차
1. 사전 작업 및 검토
2. 설계도서 검토
3. 중간검사
4. 시스템 점검
5. 시스템 성능시험
6. 종합보고서 작성
제연 TAB 목적
제연설비가 층수의 고저에 따라 일정하지 않게 방출하는 풍압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정함으로써 화재발생 시 피난자가 용이하게 계단실을 통해 대 피할 수 있도록 이동 경로 유지 및 거실제연 구역에서의 급기, 배기 풍량측정 및 조 정으로 적정성을 검증하여 재실자의 피난안전성 확보
① 사전 작업 및 검토
제연대상의 현장 상황을 판단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건축도면, 거실제연 설계도 서 및 관련도서들을 수집 및 검토한다. 각 시스템에 대한 계통도를 작성하며 특 이사항을 파악한다.
- 부속실 및 거실제연 설계도서
- 관련 설계도서(건축, 설비, 전기, 통신 등)
- 송풍기 성능곡선과 데이터 시트
- 장비 및 기기의 자료(설계 근거자료)
- 타 시스템과 제연설비의 연동 관련 자료
- 제연구역 별 계통도(시퀀스 구성)
② 설계도서 검토
사전 조사가 완료되면 제연설비의 적정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시스템 도면을 검토하고 개선 방안 및 검토사항을 작성한다. 그 후 TAB 계획서가 작성되면 현장에서 상세도면(Shop Drawing)이 완성될 때까지 상호 협력하여 덕트 경로 및 크 기 등을 검토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현장을 점검하여 도면과의 상이성 여부를 판단하여 보고서를 제출한다.
- 도면 검토
- 상세도면 검토
- 현장 점검
③ 중간검사
- 덕트 누설시험
- 자동차압댐퍼 및 배기댐퍼의 누설량 성능검사
- 방화문 설치 후 누설량 검사
④ 시스템 점검
시공자는 TAB 작업 수행 전에 송풍기, 자동차압댐퍼, 과압방지장치 설치를 완료하여 정상적 시스템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성능평가를 위한 측정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다음 사항들을 확인한다. 본 항목은 시공자가 해당 시스템의 수동 및 자동 작동 점검이 완료된 후 수행하여야 하며, TAB 수행자가 최종 점검하여 보완사항이 발생할 경우 시공자에 통보하고 시공자는 즉시 보완해야 한다.
- 송풍기
- 자동차압댐퍼
- 부속실 및 방화문
- 유입공기 배출 댐퍼
⑤ 시스템 성능 시험
급기 가압제연 시스템의 제연구역의 차압과 부속실 방화문의 개방에 따른 방연풍 속분포의 적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가화재안전기준」(NFSC)에 의한 시스템의 성능시험을 단계별로 시행, 측정을 실시한다.
- 송풍기 운전상태
- 시스템 조정
- 거실제연구역에서의 급기. 배기 풍량 측정
- 부속실 방화문 개방력 또는 폐쇄력 측정
- 부속실 차압측정
- 방연풍속 분포 측정
- 비개방층 차압 측정
- 송풍기 풍량 측정(피토 튜브를 이용하는 경우)
- 송풍기 정압 측정 ·전동기 회전수 측정
- 전동기의 운전전류와 전압측정·방화문 누설량 검사(필요한 경우)
- 비상전원 공급 시 송풍기 회전방향 확인
⑥ 종합보고서 작성
측정된 데이터는 설비 개요의 기술,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측정치와의 비교검 토, 설계, 시공상태의 문제점 표출 및 대안제시, TAB 작업의 순서, 진행 및 결과를 기술이라는 사항을 분석하여 종합보고서를 작성한다.
- 설비 개요의 기술
- 「국가화재안전기준」과 측정치와의 비교 검토
- 설계, 시공상태의 문제점 표출 및 대안제시
- TAB 작업의 순서, 진행 및 결과를 기술
'소방공사 감리 지침 및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공계획서 작업계획서 차이 와 포함내용 (0) | 2023.05.30 |
---|---|
감리의 설계변경 업무절차 검토내용 (0) | 2023.05.26 |
소방 펌프 성능시험 (0) | 2023.05.26 |
공사단계에서 소방감리 시공사 제출서류 검토 방법 (0) | 2023.05.24 |
공사단계에서의 소방감리 월간 분기 감리보고서 작성 및 절차 (0) | 2023.05.24 |
댓글